Riverpod
-
[Flutter] '상태'관리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feat. sealed classFlutter/study 2024. 1. 24. 12:37
퍼블리싱만 하던 단계에선 상태관리가 무엇인지 신경 쓰지 않고 setState()를 남발하면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api와 연동할 때쯤에 프로젝트가 난잡해져서 결국 눈물을 머금고 setState()를 걷어내다가 모든 UI를 갈아엎었던 뼈아픈 경험을 했죠. 이번에는 상태관리의 필요성을 몸으로 느꼈던 그때를 회상하며 글을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개발자들에게 클라이언트단이나 프론트를 처음 접하고 가장 재미를 느꼈던 부분을 하나 고르라고 한다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로 조작되는 순간을 많이 꼽을 것 같습니다. 픽셀로 이루어진 화면이 내가 만져서 작동을 하는 모습을 보면 그만큼 신기한 게 없기때문이죠. 이처럼 간략하게 말하자면 상태관리는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데이터가 변경되는 과정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
-
[Flutter] 실제 Repository 패턴 프로젝트 구조 파헤치기#2 (Application-Layer)Flutter/project 2024. 1. 17. 21:07
이전 글에선 Data-Layer와 Domain-Layer를 실제 코드와 함께 정리했었습니다. 데이터 레이어와 도메인 레이어는 대부분 api 통신에 관한 코드들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클라이언트단의 비즈니스 로직들을 다루는 Application-Layer 부분을 다뤄보겠습니다. 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설명하는 거라 아키텍처와 무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주의: 스스로 학습하며 구성한 프로젝트라 현직자 분들이 보시면 이상하게 느끼 실수 있습니다. "쟤는 저런 식으로 해봤구나" 정도로만 봐주시고 만약 틀린 부분을 발견하셨다면 피드백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당 글은 이전 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이해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 주세요! [Flutter] 실제 Reposit..